newsare.net
51~57세 연령대 남녀 임금 격차가 45~50세와 비교해 2배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를 앞둔 2차 베이비부머 세대(1964~1976년생) 1000만 명 중에서도 50세 이상 연령대의 퇴직 후 성별 임금 격차50대 되면 성별 임금격차 2배로…퇴직 후 여성 일자리 질 급격히 하락
51~57세 연령대 남녀 임금 격차가 45~50세와 비교해 2배 이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를 앞둔 2차 베이비부머 세대(1964~1976년생) 1000만 명 중에서도 50세 이상 연령대의 퇴직 후 성별 임금 격차가 더 뚜렷해진 것이다. 20일 한국고용정보원 ‘2차 베이비부머의 노동시장 심층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45~50세 연령대 남녀 임금 격차는 약 20%였던 반면 51~57세 남녀 임금 격차는 약 45%로 조사됐다. 50대 들어 남녀 임금 격차가 급격히 벌어지는 건 50세 문턱에서 퇴직 후 성별에 따라 길이 크게 갈리기 때문이다. 통계청 조사에서 한국의 주된 일자리 평균 퇴직 연령은 49.4세다. 남성들은 50대에도 직장을 꾸준히 다니거나, 퇴직하더라도 어떻게든 재취업을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여성은 50대까지 직장에서 버티는 경우가 많지 않고, 그만둔 뒤 임금이 적고 고용 조건이 떨어지는 ‘질 낮은 일자리’로 옮겨가는 경우가 많다. 50대는 과거 결혼하고 아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