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경제·안보부처를 중심으로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어온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에 대한 접속 차단 조치에 나선 가운데, 교육부도 딥시크 등 생성형 AI에 대해 사용 자제에 나섰정부부처 잇따라 딥시크 차단령…교육부도 생성형 AI 자제 공문
경제·안보부처를 중심으로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어온 중국산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에 대한 접속 차단 조치에 나선 가운데, 교육부도 딥시크 등 생성형 AI에 대해 사용 자제에 나섰다.6일 교육부는 시도교육청, 대학 등에 ‘생성형 AI 활용 관련 보안사항 준수’ 제목의 공문을 발송했다.교육부는 공문에서 “최근 챗GPT 등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 시 과도한 사용자 정보(텍스트, 음성, 키보드 입력패턴 등)가 수집돼 민감정보 유출 등 보안 위협이 우려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업무 활용 시 개인정보, 비공개 업무자료 등 민감정보 입력 금지 △AI 기술을 활용한 정보화사업 추진 시 보안성 검토 준수를 당부했다.앞서 산업통상자원부·외교부·통일부·국방부 등 정부 부처들은 보안 유출을 이유로 잇따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다만 교육부는 타 부처처럼 접속을 완전히 차단하지는 않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생성형 AI가 나온 뒤 국정원으로부터 보안에 유의하라는 내용의 공문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