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은 기술… 국영수처럼 가르쳐야”[베스트 닥터의 베스트 건강법]
newsare.net
아이를 낳아 기르며 수만 갈래 고민을 마주한다. 타인과 관계 맺고 어울리는 능력을 말하는 사회성은 그중 단골 주제다. 옹알이를 안 해서, 눈 맞춤을 못해서, 말이 없어서, 친구에게 휘둘려서….“사회성은 기술… 국영수처럼 가르쳐야”[베스트 닥터의 베스트 건강법]
아이를 낳아 기르며 수만 갈래 고민을 마주한다. 타인과 관계 맺고 어울리는 능력을 말하는 사회성은 그중 단골 주제다. 옹알이를 안 해서, 눈 맞춤을 못해서, 말이 없어서, 친구에게 휘둘려서…. 돌잡이부터 고등학생까지 다양한 문제를 겪게 된다. 김효원 서울아산병원 소아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대한민국 중학교 2학년 가운데 관계 문제로 속앓이하지 않는 학생은 없을 것”이라며 “초등학교 저학년까지 기본 사회성을 탑재하도록 도와주고, 초등 고학년부터는 홀로 세상에 맞설 단단한 마음을 심어 줘야 한다”고 했다. ● 초등 1∼2학년에 익혀야 할 5가지 능력 사회성은 타고나는 것일까, 길러지는 것일까. 정상 범주 아이의 사회성은 키와 비슷하다. 부모 키가 크면 자녀도 클 확률이 높다. 하지만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밥을 잘 먹지 않으면 키가 자라지 않는다. 사회성 역시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 다만 자폐스펙트럼장애처럼 병리적인 경우엔 유전 영향이 더 크다. 사회성은 추상적 개념이 아니라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