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2007년 한 대학교의 ‘역사서 강독’ 강의. 담당 교수가 고구려 을지문덕이 수나라 군사 30만 명을 섬멸한 살수대첩을 한창 설명할 때 한 사학과 2학년생은 의문이 생겼다. ‘전장에서 숨진 수십만“옛 사람들 뼛조각서 당시 흔적 찾아내… 파묘는 내 운명”
2007년 한 대학교의 ‘역사서 강독’ 강의. 담당 교수가 고구려 을지문덕이 수나라 군사 30만 명을 섬멸한 살수대첩을 한창 설명할 때 한 사학과 2학년생은 의문이 생겼다. ‘전장에서 숨진 수십만 군사들의 시체로 전염병이 발생하지 않았을까?’ ‘고구려 풍토병에 감염된 병사들이 고국으로 돌아가 옮기지는 않았을까?’ 학생이 질병 관련 당대 기록이 남아있는지 묻자, 교수는 “관련 기록은 없지만 연구해 보면 재미있겠다”고 답했다. 학생은 고고 발굴 현장에서 발견된 고인골(古人骨·오래된 사람 뼈)이나 동식물의 유체에 남은 DNA를 분석하는 ‘생물 고고학자’가 되겠다고 그때 결심했다. 묘를 파는 ‘파묘’가 인생의 일부가 돼버린 홍종하 경희대 한국고대사고고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40) 얘기다. “사방에 뼈들이 좀 많죠?” 지난달 경희대 유라시아 생물유존체 분석센터에서 만난 홍 교수의 연구실. 한쪽에는 100개가 넘는 ‘뼈 단지’들이 쌓여 있었다. 분석 중인 고인골과 동물 뼈들이 방 안 가득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