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국내 연구진이 우주 시뮬레이션으로 은하 모양이 변하는 원인과 과정 밝혀냈다. 은하단 내 은하 모양에서 규칙성을 관측한 지 45년 만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진화연구센터 홍성욱 책임연구나선형→타원형으로 변하는 은하 모양…국내 연구진 원인 밝혀
국내 연구진이 우주 시뮬레이션으로 은하 모양이 변하는 원인과 과정 밝혀냈다. 은하단 내 은하 모양에서 규칙성을 관측한 지 45년 만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우주진화연구센터 홍성욱 책임연구원과 고등과학원 박창범 교수가 주도하는 국제 공동 연구진이 세계 최대 규모 우주 시뮬레이션인 ‘호라이즌 런 5(HR5)’를 사용해 은하단 내 은하의 모양이 변화하는 규칙성의 기원을 밝혔다고 31일 밝혔다. 은하단은 우주에서 안정화된 천체 중 가장 무거운 천체로서 수백에서 수천 개의 은하들이 중력으로 서로 묶여있다. 은하단을 연구하면 최초의 천체가 언제 어떻게 생성되는지 은하가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는지, 그리고 우주의 전체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우주에 있는 은하는 크게 나선은하, 타원은하 그리고 렌즈은하로 구분된다. 은하단 중심부에 타원은하나 렌즈은하가 주로 분포하며, 바깥쪽으로 갈수록 나선은하의 비율이 증가한다. 이러한 규칙성은 1980년 미국의 천문학자 앨런 드레슬러(Al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