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두부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더 많이 섭취하는 국가의 사람들이 소고기나 소시지 등 동물성 단백질 섭취 비중이 더 높은 나라 국민보다 기대 수명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저명 학술지 네이처식물성 단백질 vs 동물성 단백질, 101개국 기대수명 보니…
두부와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더 많이 섭취하는 국가의 사람들이 소고기나 소시지 등 동물성 단백질 섭취 비중이 더 높은 나라 국민보다 기대 수명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저명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연구 결과를 발표한 호주 시드니 대학교 찰스 퍼킨스 센터(의학 연구소) 연구자들은 세계 101개국의 1961~2018년 식량공급 및 인구 통계 데이터를 분석했다. 연구자들은 각국의 경제 수준, 인구 규모 등을 조정해 국민이 섭취하는 단백질 종류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 기대 수명은 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를 가리킨다. 그 결과 두 개의 큰 특징이 도출됐다. 영·유아기와 성인기, 몸에 더 건강하게 작용하는 단백질이 각각 다르다는 점이다.“5세 미만 아동의 경우, 육류, 계란, 유제품과 같은 동물성 단백질과 지방을 다량 공급하는 식품 체계가 유아 사망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인의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