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혼의 악수[이준식의 한시 한 수]〈326〉
여러 해 못 만났다, 만나고 나니 외려 마음이 아리네.싸락눈처럼 쏟아지는 내 눈물. 아, 자네 머리는 명주실처럼 하얘졌구나.비탄에 잠긴 채 서로 손을 맞잡은 지금, 하필이면 꽃이 지는 시절이라니.오늘 밤은 여한 없이 한껏 취해보세. 어차피 인생이란 허둥지둥 흘러가는 것을.(年年不相見, 相見卻成悲. 敎我淚如霰, 嗟君髮似絲. 正傷携手處, 况値落花時. 莫惜今宵醉, 人間忽忽期.)―‘옛 친구를 만나(봉고인·逢古人)’ 제1수·두목(杜牧·803∼852)시는 친구와의 재회를 빌려 늙음과 세월의 속절없음을 조곤조곤 짚어낸다. 오랜만에 만난 친구 앞에서 시인은 뜨거운 포옹 대신 묵직한 한숨부터 터져 나온다. 왜일까. 그건 아마도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새겨진 친구의 얼굴을 보며 자신의 늙어감을 슬쩍 들여다보게 됐기 때문일 터. ‘비탄에 잠긴 채 손을 맞잡은 지금’이라는 대목은 마치 인생의 해 질 녘에 선 두 사람의 모습을 그려놓은 듯하다. 꽃이 지고, 해가 기울고, 사람도 어느덧 황혼 무렵…. 시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