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포스, ‘글로벌 AI 준비지수’ 발표… 한국 AI 경쟁력 상세분석
세일즈포스는 31일 국가별 AI 경쟁력을 평가한 ‘글로벌 AI 준비 지수(Global AI Readiness Index)’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16개국의 AI 도입 준비 수준을 분석하며, 기업과 정부의 미래 AI 전략 수립에 중요한 지침을 제시한다.분석 대상은 한국, 미국, 영국, 싱가포르, 독일, 캐나다 등 16개국으로, 규제 프레임워크, 산업·정부 AI 도입 수준, AI 생태계, 투자 환경, 인재 및 역량 개발 등 5개 영역을 기준으로 평가했다.보고서에 따르면, AI 기술은 예측형, 생성형을 거쳐 AI 에이전트로 진화하며 단순 자동화를 넘어 의사결정과 실행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다. 향후 2년 내 AI 에이전트 도입은 현재 대비 약 327%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한국은 AI 규제 프레임워크에서 10점 만점에 9점을 기록하며 싱가포르, 영국과 함께 상위권에 랭크됐다. 국가적 AI 전략과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산업 및 정부 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