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꼴 모양 엉덩뼈… 인간이 두 발로 걷게 해줬다
인간이 고릴라, 오랑우탄, 침팬지 등 다른 유인원과 차이를 보이는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가 ‘이족보행’이다. 골반을 구성하는 부채 모양의 커다란 뼈인 장골(엉덩뼈)에서 일어난 두 가지 구조적 혁신이 인간이 두 발로 걷게 된 이유라는 사실이 처음으로 규명됐다. 테런스 카펠리니 미국 하버드대 인류진화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조직학적, 해부학적, 기능적 유전체 접근법을 통해 인간의 장골이 다른 유인원의 장골과 어떻게 다른 구조를 갖도록 진화했는지 확인하고 연구 결과를 2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인간의 장골은 꼿꼿하게 서서 두 발로 걸을 수 있도록 지탱해주는 신체 부위인 골반을 구성하는 뼈 중 하나다. 인간 장골은 세로로 짧고, 옆으로 퍼져 있는 부채꼴 모양이다. 내장기관을 지탱하고 이족보행이 가능하도록 몸통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간과 달리 다른 유인원의 장골은 뒤쪽으로 길고 좌우로는 좁다. 나무를 타거나 사족보행을 하기에 적합한 형태다. 연구팀이 인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