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1개 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수백 개 전산 시스템이 사흘 넘게 먹통이 되면서 정부의 데이터 관리·복구 체계에 큰 구멍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제기되1개층 화재에 647개 전산망 스톱… 민낯 드러낸 ‘디지털 정부’
26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1개 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수백 개 전산 시스템이 사흘 넘게 먹통이 되면서 정부의 데이터 관리·복구 체계에 큰 구멍이 드러났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사태로 ‘정부 전산은 재난 상황에서도 3시간 이내 복구된다’던 정부의 기존 설명이 무색해졌고, 비상시 즉시 대체할 시스템도 사실상 없다는 점이 공개됐다.● 데이터 ‘이중화’ 체계 미비국정자원은 중앙행정기관과 지자체의 주요 전산 시스템과 데이터를 통합 운영·관리하는 정부 정보기술(IT) 인프라 총괄 기관이다. 대전·광주·대구 3곳에서 1600여 개 전산 시스템을 분산 운영한다. 대전 본원에 전체 국가 정보시스템의 3분의 1 이상이 집중돼 있다. 이번 화재로 정부24, 국민비서, 인터넷우체국, 119 신고 시스템 등 647개 시스템이 동시 중단됐다.광주 분원은 경찰 112 신고·법무부·특허청·국세청 시스템을, 대구 분원은 ‘민생지원 소비쿠폰’ 등 복지 시스템을 담당하고 있어 일부 서비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