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서울시가 한강벨트 주요 지역에 20만 가구를 집중 착공하기로 하면서, 성동·마포·동작 등 비강남권 아파트에 대한 매수세가 당분간 거세질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가 토지거래허가구역(서울 착공 물량 64% 한강벨트…마포·성동 ‘매수 집중’ 우려
서울시가 한강벨트 주요 지역에 20만 가구를 집중 착공하기로 하면서, 성동·마포·동작 등 비강남권 아파트에 대한 매수세가 당분간 거세질 전망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가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지정이 없다고 밝힌 가운데,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가능한 지역 중심으로 단기적 가격 상승과 매수 집중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된다.3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신속통합기획 2.0’을 통해 정비사업 기간을 기존 평균 18.5년에서 12년으로 단축하고, 2031년까지 총 31만 가구를 착공할 계획이다. 이 가운데 63.8%인 19만 8000가구는 수요가 많은 한강변에 집중 배치된다. 한강변을 포함한 서울 11개 자치구에서는 강남3구에만 7만 5000가구가 공급되며, 한강벨트 주요 지역에서는 △성동구 5000가구 △마포구 3000가구 △동작구 1만1000가구 △광진구 1000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오세훈 “서울 주요 지역 공급 통해 집값 안정”…‘기대 심리’에 집중 매수 우려오세훈 서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