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KAIST 연구팀이 석유 정제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던 벤젠·톨루엔·에틸벤젠·파라자일렌(BTEX)을 바이오 원료에서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바이오 공정으로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친환경 플라스틱 원KAIST팀, 석유 아닌 미생물서 페트병 원료 추출
KAIST 연구팀이 석유 정제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던 벤젠·톨루엔·에틸벤젠·파라자일렌(BTEX)을 바이오 원료에서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바이오 공정으로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친환경 플라스틱 원료의 생산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12일 KAIST에 따르면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및 한순규 화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최근 미생물 발효 공정과 유기화학 반응을 결합해 포도당, 글리세롤과 같은 재생 가능한 바이오 원료에서 BTEX를 생산하는 공정을 개발했다. 미생물이 포도당과 글리세롤을 이용해 페놀, 벤질알코올 등 산소화된 중간 물질을 만들면 화학 반응으로 산소를 제거해 BTEX를 얻는 방식이다. BTEX는 페트병, 스티로폼, 나일론 등 일상생활 곳곳에 쓰이는 제품의 핵심 원료로, 지금까지는 석유 정제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었다. 이 때문에 환경적인 부담이 컸지만 복잡한 화학 구조 때문에 식물 기반의 BTEX는 생산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KAIST 연구팀이 새로운 공정으로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