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챗GPT가 작성한 내용을 거의 그대로 싣는 식으로 인공지능(AI)을 부적절하게 사용한 것으로 의심돼 철회된 국내 논문이 200건을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서울대 등 주요 대학에서 AI를 이용한 커[단독]AI 부적절 사용 논문… 최근 5년 204건 철회
챗GPT가 작성한 내용을 거의 그대로 싣는 식으로 인공지능(AI)을 부적절하게 사용한 것으로 의심돼 철회된 국내 논문이 200건을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서울대 등 주요 대학에서 AI를 이용한 커닝 사례가 잇따라 드러난 데 이어, 대량의 AI 논문 대필 의혹까지 확인되면서 학계가 ‘AI발(發) 혼란’에 빠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동아일보가 16일 김완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데이터서비스센터 책임연구원과 논문 철회 감시 사이트 ‘리트랙션 워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부터 이달 15일까지 국내 대학·연구기관 논문 중 ‘생성형 AI 사용 의심’을 이유로 논문 게재가 철회된 사례는 204건이었다. 1999년 이후 전체 철회 논문의 14.3%에 달한다. 논문 철회는 중대한 오류나 연구윤리 위반이 발견됐을 때 해당 연구를 무효로 하는 조치다. AI 사용 의심 논문은 챗GPT 등이 등장한 2022년까지 9건에 불과했지만 2023년 이후 195건으로 급증했다. 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