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국내 건설업의 사고 사망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 10개 국 평균의 2배에 달하며, 가장 위험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영국 대비 6배 이상 높아 안전 관리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국내 건설업 사망률, OECD 10대국 평균의 두 배…“영국의 6.6배”
국내 건설업의 사고 사망률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 10개 국 평균의 2배에 달하며, 가장 위험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영국 대비 6배 이상 높아 안전 관리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5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2023년 건설업 사고 사망 만인율(근로자 1만 명당 사망자 비율)은 1.59 퍼밀리아드(이하 단위 생략)로, 10개 국 평균(0.78)보다 약 2배 높았다. OECD 경제 10대 국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다. 한국 다음으로 △캐나다(1.08) △프랑스(0.97) △미국(0.96) △이탈리아(0.92) △스페인(0.72) △일본(0.68) △호주(0.34) △독일(0.29) △영국(0.24) 순이었다.한국의 사고 사망 만인율은 수치가 가장 낮은 영국보다 6.6배 높았다. 같은 해 건설업을 포함한 전체 산업의 국내 사고 사망 만인율은 0.39였다. 이는 OECD 경제 10대 국 중 캐나다(0.50) 다음으로 높은 수치다. OECD 10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