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상호 관세 발효 시한(8월 1일)을 일주일도 채 남기지 않은 가운데,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최종 담판에 ‘총력전’ 모드로 돌입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당초 25일(현지김정관·여한구, 귀국 미루고 관세 협상 총력전…발효 전 타결 안간힘
상호 관세 발효 시한(8월 1일)을 일주일도 채 남기지 않은 가운데,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최종 담판에 ‘총력전’ 모드로 돌입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당초 25일(현지시간) 예정됐던 귀국 일정을 미루고,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의 뉴욕 사저에서 2차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이틀 연속으로 이어지는 협상은 막판 조율이 본격화됐다는 신호로도 해석돼, 한미 관세 협상이 급물살을 탈지 주목된다. 트럼프 행정부 키맨으로 꼽히는 러트닉 장관과의 ‘사저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 면담 직전 일본이 최종안을 조율했던 사례와 겹치며 국내 통상 당국이 일본 사례를 벤치마킹해 막판 전략 조율에 나섰다는 평가가 나온다.26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전날(25일) 김용범 정책실장은 브리핑에서 “김정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러트닉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각각 협의를 이어가기로 했다”며 “러트닉 장관과의 미팅은 뉴욕 사저에서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