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비행기가 도달하기에는 너무 높고 위성이 궤도를 돌기에는 너무 낮은 지상 50∼80km의 중간권(mesosphere)은 오랜 기간 인류에게 ‘미지의 영역’이었다. 국내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 공동연구팀이 중‘햇빛’만으로 비행… ‘지름 1㎝’ 초경량 비행체 개발 성공
비행기가 도달하기에는 너무 높고 위성이 궤도를 돌기에는 너무 낮은 지상 50∼80km의 중간권(mesosphere)은 오랜 기간 인류에게 ‘미지의 영역’이었다. 국내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 공동연구팀이 중간권 탐사가 가능한 초경량 태양광 비행체를 개발했다. 주스트 블라삭 미국 하버드대 폴슨 공학응용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태양광만으로 스스로 떠오를 수 있는 초경량 태양광 비행체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3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김종형 부경대 융합소재공학부 교수도 논문 저자에 이름을 올렸다. 연구팀은 ‘광영동(photophoresis)’이라는 독특한 물리적 현상을 이용했다. 광영동은 빛에 노출된 물체의 따뜻한 면과 차가운 면 사이의 온도 차이로 발생한다. 공기가 희박한 환경에서 따뜻한 면의 공기 분자는 차가운 면의 분자보다 더 강하게 튕겨 나가는데, 이때 발생하는 운동량 차이가 물체를 밀어 올리는 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구멍이 촘촘히 뚫린 두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