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are.net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써도 월 1회 이상 발작이 지속되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 중 상당수는 뇌 절제 수술이 불가능하다. 이들에게 뇌심부자극술(DBS)이 중요한 치료 대안으로 꼽히지만, 기억과 인지뇌절제술 불가능한 뇌전증 환자…‘이 시술’로 발작 70%↓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써도 월 1회 이상 발작이 지속되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 중 상당수는 뇌 절제 수술이 불가능하다. 이들에게 뇌심부자극술(DBS)이 중요한 치료 대안으로 꼽히지만, 기억과 인지의 핵심 뇌 부위를 자극하는 만큼 인지기능 저하에 대한 우려가 환자와 의료진의 주요 고민거리였다.뇌심부자극술은 발작을 일으키는 비정상적 전기 신호 발생하는 뇌 부위를 찾은 뒤 두께 1㎜에 불과한 아주 얇은 전극선을 꽂아 미세 전기를 흘려 뇌를 안정화시키는 시술을 말한다.13일 삼성서울병원에 따르면 신경과 손영민 교수 연구팀이 최근 국제 뇌전증 학술지(Epilepsia open)에 뇌심부자극술에 관한 걱정을 해결할 답을 내놨다.손 교수 연구팀은 난치성 뇌전증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DBS(시상전핵 DBS 12명, 해마 DBS 10명)을 시행한 뒤 최소 18개월, 평균 약 3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인지 기능이 저하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됐다고 밝혔다. DBS 목표 지점별 인지 기능을 장기 Read more











